블로그를 시작한 지 일주일이 채 되지 않아서 다음 검색엔진 최적화가 이루어졌습니다.
보통 한달 내외로 이루어진다고 하여, 사실 큰 기대도 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시간이 될 때 마다 알려드리고 싶은 내용들을 쓰고 있었을 뿐인데 이렇게 검색이 된다니 기쁘네요.
그런 관계로 원래 할 계획은 없었지만 다음 최적화에 관해서 글을 써볼까 합니다.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가 다음에 최적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다음 검색창에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검색해보시면 됩니다.
http://블로그명.tistory.com / 블로그명.tistory.com
둘 중에 어떤 형태를 사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비교로 최적화 전을 보여드리면 이렇게 나옵니다.
글 쓴 게 있다면 글 쓴 항목은 검색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다음 최적화를 알게 된 것은 조금 다른 경로라서 제 경험담을 알려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보통 블로그를 생성하고 한 달 내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는 크게 기대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블로그에 글을 쓰러 들어왔을 때, 검색 유입이 많이 잡히기 시작해서 어떤 내용인지 확인을 하게 되었죠.
유입 채널에 검색 항목이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해서 블로그 관리의 통계 -> 유입 경로 항목을 확인하였습니다.
갓 블로그를 오픈했을 때는 보이지 않던 search.daum.net 항목이 추가가 된 걸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갓 오픈한 블로그라서 검색 결과는 영 시원찮네요.
추가로 제가 지켰던 티스토리 블로그 다음 최적화 관련 방법들에 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꽤 많은 가설들이 있었는데 가설을 확인하기도 전에 너무 빠르게 되긴 해서 도움이 될지는 사실 모르겠습니다.
1. 1개월 이내
다음이 최적화되면서 시간이 많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1개월 내에 되는 건 어느 정도 운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7일에 개설해서 13일에 되었으니, 6일 걸렸습니다.
일주일도 걸리지 않았으니 여기에 운을 다 써버렸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2. 다른 곳에서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10개 이상 사용
일단 제가 편집한 이미지를 사용하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10개는커녕이고 굳이 많이 만들 필요 없다는 생각에 3개 정도만 넣었습니다.
아무래도 직접 편집한 이미지를 사용한 것이 주요했던 것 같습니다.
3. 글 1000자 이상 작성
이 부분은 확실히 잘 지켰습니다.
군더더기 없으면서 1000자를 넘게 쓴다는 건 조금 어려운 일이었기는 합니다만, 유효한 성과를 낸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글자 수를 맞추는데만 열을 올린 조잡한 콘텐츠는 장기적으로는 해가 될 확률이 높으니 지양하도록 합니다.
참고로 제가 글자 수와 맞춤법을 한 번에 검사하기 위해서 해당 홈페이지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https://speller.cs.pusan.ac.kr/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Copyrightⓒ2001 AI Lab & Narainfotech. All Rights Reserved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는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과 (주)나라인포테크가 함께 만들고 있습니다. 이 검사기는 개인이나 학생만 무료로 사용�
speller.cs.pusan.ac.kr
4. 모든 카테고리 글 작성
최소한 1개라도 카테고리마다 글이 작성이 되어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지금 보셔서 아시겠지만, 고작 두 카테고리에 글이 2개씩 있을 뿐입니다.
적은 카테고리라도 알차게 잘 채우는 것이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자산관리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능통장 ISA - 2020년 세법 개정안 포함 (2021년 적용) (0) | 2020.07.24 |
---|---|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최근 생겨난 소소한 혜택들 (0) | 2020.07.21 |
소득공제 장기펀드(소장펀드) 유지해야 할까? (0) | 2020.07.19 |
네이버 해피빈 룰렛 이벤트 (0) | 2020.07.12 |
전성기 안경 기부 캠페인 (라이나전성기재단) (0) | 2020.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