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14년 등장하여, 슬슬 환매시점이 다가온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해서 말씀드릴까 합니다.

인적공제를 받을 수 없고 특별한 공제항목이 없었을 때, 재테크와 절세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태어난 펀드입니다.

하지만 제약사항이 너무나 많고, 실제 펀드를 개설할 수 있는 소득분포의 사람들이 장기 투자를 할 수 있는 여력이 없는 사람들이 많아서 실제 판매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모호한 소장펀드, 함께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렇게만 보면 장점이 많았던 것 같은데, 왜 판매 기간도 짧았고 판매 기간 중 총설정액이 100억 원이 넘은 곳이 메이저인 한국밸류자산운용, 신영자산운용, KB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정도뿐이었을까요?

단점이 너무 컸습니다.


소득공제 장기펀드 단점

1. 최소 5년의 초 장기 상품

요즘 몇 년 안에 구성된 상품들이 모두 서민형 3년 의무 가입기간을 가지는 것과는 다르게 너무 의무 가입기간이 길었습니다.

그리고 단건 펀드로만 가입할 수 있어서, 판매 기간 종료하고는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할 수 없는 것은커녕이고 금액 축소밖에 할 수 없는 부분도 컸습니다.

거기다 부분 환매도 가능하지 않아서, 환매를 하면 전액 환매하고 특징을 상실하게 됩니다.

변해가는 금융상황에 대응하기 어려운데, 기간까지 길어서 선뜻 가입하기 힘든 상품이었습니다.

이후에 가입했던 다른 상품들이 서민형으로 의무 가입기간이 끝났고, 끝나가는 상황에서 가장 먼저 가입한 중기 상품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이제야 의무 가입 기간이 끝났습니다.

 

2. 국내 주식 40% 이상 투자

이미 국내 주식은 비과세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해당 소득구간의 구매자에게는 크게 뛰어나지 않은 세제 혜택에 주식시장에 의존하는 불안한 상품이었습니다.

채권형과 주식형 크게 두 종류로 판매하긴 했으나, 크게 선택지가 없는 거나 다름없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유명한 상품들의 소득공제 장기펀드 클래스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 또한 그랬고요.

 

 

제 소장펀드 상품의 올해 수익률을 잠시 보겠습니다.

하필 작년 이후 계속된 시장 하락세에 코로나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하락 시점에 5년 의무 가입 기간이 끝나며, 주식 비중이 높은 펀드는 고위험 상품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깨우쳤습니다.

 

3. 가입 가능 대상의 협소함

다분히 금융편의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나 싶을 정도로, 근로소득으로 한정한 부분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근로소득자와 자영업자를 분리하여 조건을 달고 만든 타 상품들에 비해서 판매액이 저조한 이유 중 하나로 보입니다.

급여 기준은 그 시절에는 충분히 그럴듯한 조건이었지만, 자금 규모가 커질수록 유리한 펀드에서 가입 가능 대상이 좀 더 폭넓었으면 좋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렇게 부정적인 이야기만 해서 죄송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 단점들이 있고 의무 가입 기간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소장펀드를 유지할 생각입니다.


소득공제 장기펀드 유지 이유

1. 시장의 리스크 대응에 대한 신뢰

크게 걱정한 제 펀드 수익률은 생각보다 빠르게 회복하였습니다.

원래도 채권혼합펀드라서 높은 수익률을 보장한 상품은 아니었습니다.

이 정도로 현상유지만 해준다면 바랄 것이 없겠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어느 정도 수익을 본 상황이고 앞으로 시장 상황에 불확실한 생각을 가지신 분이라면 환매하시는 것도 괜찮다고 봅니다.

 

2. 소득공제의 필요성

저는 소득공제 항목이 크게 없는 편입니다.

뱉어내지 않으면 다행인 상황이라 큰 금액이 아니지만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환급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후에 나온 다른 소득공제 상품들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는 글을 쓰겠지만, 그렇게 마음에 드는 상품이 없으므로 이 것이라도 유지해야 됩니다.
그리고 세금을 많이 사용한 상황이라 세제혜택 상품을 한동안 만나기 힘들 수 있을 거라는 점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3. 저금리 상황

현재 금리가 너무 낮다 보니, 환급되는 금액이 훨씬 크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마땅한 투자처도 없어서 돈이 놀게 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장기상품이다 보니 전체 투자액은 1조를 초과했기에, 규모적으로 대응하기도 용이해지지 않았을까 하는 일말의 기대를 가져봅니다.

728x90

+ Recent posts